대중 소식News

  • 홈
  • 대중 소식
  • 업무 사례

업무 사례

업무 사례

[성공사례] 불송치로 끝난 사기죄 고소, 이의신청 인용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5-01-24

본문

a3f2a76a60ecda9d5c5ac626d4fa9cd1_1718958097_4126.jpg


1. 사건의 개요


의뢰인은 지인이 비상장주식을 통해 돈을 많이 벌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지인은 본인에게 투자를 하면 그 투자금으로 곧 상장될 비상장주식을 대신 구매해주겠다고 하면서 투자를 권유하였습니다. 게다가 지인은 원금보장도 약속하였습니다.


그런데, 지인이 상장이 확실하다고 말하던 주식은 상장되지 않았고, 원금도 반환해주지 않아 의뢰인은 큰 경제적 손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의뢰인은 지인을 수사기관에 사기죄로 고소하였으나, 수사기관은 의뢰인이 단순히 비상장주식에 투자를 한 것이라며 불송치 결정 처분을 하였습니다.


2. 법률사무소 대중의 조력


경찰에서는 사기죄에 대한 불송치 결정을 하였고 단순 투자로만 판단하고 있었기 때문에,

법률사무소 대중은 경제범죄 수사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기죄 기망의 고의를 증명하는데 집중하였습니다.


사건을 재분석하면서 수사기관이 놓쳤던 쟁점이 무엇인지를 위주로 구체적으로 다투면서, 단순 투자가 아닌 법리적으로 사기죄의 구성요건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추가 고소를 통하여 자본시장법 위반에도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새롭게 주장하였습니다.


3. 처분 결과


언론에서도 이슈되었던 대형 재산범죄 사건들을 다뤄본 경험을 바탕으로, 불송치결정에 대해 이의신청한 결과, 검사는 사기죄 뿐만 아니라 자본시장법 위반죄에 대해서도 재수사할 것을 요구하며 보완수사요구 명령 처분을 하였습니다.


1736327242530_be5fe9a8-2de1-46c2-8f16-8714cc3f2f9f

의뢰인은 법률사무소 대중과 처음 접촉할 당시만 해도,

거의 포기한 상태에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본 사건을 진행하였습니다.


재산범죄, 특히 사기, 배임, 횡령죄는 쟁점이 사건마다 다양하고 개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많은 범죄유형입니다.


대법원에서도 매년 새로운 법리가 도출될 만큼, 재산범죄는 단순히 그럴듯한 범죄사실만 기재해서 고소한다면 수사기관에서도 미처 쟁점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사건이 종결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재산범죄에 대한 법리가 탄탄하고, 경험이 풍부한 재산범죄 전문 변호사가 사건이 적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재산 범죄 전문 변호인의 도움이 필요하신 경우 

법률사무소 대중으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법률사무소 대중은

고객의 성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습니다.

감사합니다.